정부의 기본 기조와 최근 흐름
2025년 들어 정부는 부동산 세제를 직접 강화하기보다는 금융규제를 중심으로 시장 안정을 추진하고 있다. 하반기 세제개편안에서도 보유세 강화는 제외되었고, 단기 효과가 큰 금융 대책 위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. 그러나 국회와 전문가들은 여전히 보유세 강화와 거래세 완화, 재산세 현실화율 상향, 종부세 구조 개편 등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.
김용범 정책실장의 발언
김용범 실장은 2025년 8월 20일 기자간담회에서 “부동산 시장 안정이나 주거 복지에 필요하면 어떤 수단이 제약되어서는 안 된다”며, “세금을 활용해서까지 집값을 잡는 상황까지 가지 않도록 하겠다는 말이겠지만, 어떠한 경우에도 세금을 쓰지 않는다는 것은 공약도 아니다. 정부는 필요한 수단을 쓸 것”이라고 밝혔다. 다시 말해, 세금(보유세 포함)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. 이는 정부가 보유세 등 세제를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.
공정시장가액비율과 세 부담 전망
현행 공정시장가액비율은 1세대 1주택자 기준으로 공시가격 3억 원 이하 43%, 3억~6억 원 44%, 6억 원 초과 45%가 적용된다. 또한 종부세 과세표준 산정 시 적용되는 비율(현행 60%)을 80%까지 올리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어, 향후 보유세 부담 증가는 불가피할 수 있다.
양도세 중과 유예 조치
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세율(2주택 +20%p, 3주택 이상 +30%p) 적용은 2026년 5월 9일까지 유예되었다. 이 기간 동안 조정대상지역 내 2년 이상 보유한 주택을 매도하면 기본세율과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어 절세 기회를 누릴 수 있다.
2025년도 하반기 세제개편안 요약
2025년 하반기 세제개편안에 부동산 보유세 강화 방안은 포함되지 않았다. 오히려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완화, 중과세율 유예 등의 완화 기조로 발표되었다. 이번 세제개편안은 법인세, 금융투자세제, 증권거래세 등 기업·자본시장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. 부동산 세제는 민감성을 고려해 강화 방안이 빠졌으며, 오히려 1세대 1주택자의 종부세 부담을 줄이는 완화 조치가 포함되었다. 정부는 금융규제를 우선 활용하고, 보유세나 거래세는 종합 검토 후 추후 다루겠다는 입장이다.
양도세 중과 유예(2026.5.9까지)
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율(2주택자 +20%p, 3주택자 +30%p) 적용을 2026년 5월 9일까지 한시적으로 유예했다. 이 기간 안에 조정대상지역 내 2년 이상 보유한 주택을 양도하면 기본 누진세율이 적용되고, 장기보유특별공제도 받을 수 있다.
다주택자의 대응 전략
“보유세는 높이고 거래세는 낮추자”, “재산세 현실화율을 80~85%로 상향하자”, “종부세를 보유세 또는 부유세와 통합하거나 목적세 활용 방안을 모색하자” 등 다양한 구조 개편 제안들이 정책 논의 테이블에서는 여전히 제시되고 있다.
다주택자는 2026년 5월 9일까지 한시적으로 주어진 양도세 중과 유예 기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부 매도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. 이 시기 매도 시 기본세율과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. 또한 향후 공정시장가액비율 인상으로 보유세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므로, 장기 보유 일변도 대신 분산 매도, 임대사업 등록 검토 등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| 항목 | 현황 및 내용 |
|---|---|
| 김용범 실장 언급 | 주거복지·시장 안정이 필요할 경우 보유세 등 세제 수단도 쓸 수 있다는 입장. “세금 안 쓴다”는 발언은 공약이 아님 |
| 세제개편안 동향 | 보유세 강화는 제외됨. 일부 완화 조치 포함됨 |
| 공정시장가액비율 (현행) | 1세대 1주택자 기준: 공시가격 3억 이하 43%, 3~6억 44%, 6억 초과 45% |
| 공정시장가액비율 인상 검토 | 종부세 과세표준을 산정할 때 적용하는 비율을 60% → 80%로 높이는 방안 검토 중 |
| 양도세 중과 유예 | 2026년 5월 9일까지 유예. 해당 기간 내 2년 이상 보유 주택 양도 시 기본세율 적용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가능 |
| 정책 논의 방향 | 보유세 강화, 거래세 완화, 세율 구조 개편 등 다각적 제안 존재 |